PEG TUBE

뇌경색이나 식도암 환자의 경우처럼 연하장애가 있는 경우 feeding을 위해 사용한다.

 

쉽게 잘 빠지지 않음.

드레싱을 매일 시행.

시술 받은 이후 1~2일 내에 튜브에서 새어나와도 문제 안됨

5-7일까지는 드레싱이 필요, 이물질 흡수. 드레싱 젖으면 제거하고 튜브 삽입 위치를 깨끗이 닦고 다시 드레싱하기.

 

순서

1. 손소독 후 비멸균장갑 착용

2. 이전 드레싱을 제거

3. 튜브 삽입 위치를 관찰, 이상있을 경우 주치의에게 알리기. 적은 양의 drain은 정상임

4. 코튼볼을 집어서 가피나 drainage 닦기

5. Y거즈를 디스크 밑으로 적당히 몇 장 끼워넣고 또 몇장 끼워넣는다.

6. 테이프로 고정

 

EVD

신경외과에서 주로 사용

뇌실내 출혈이나 뇌척수액 과다 또는 축적으로 인해 두개강 내압이 상승되고 의식이 악화될 때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배액시켜 ICP조절.

높이는 주치의가 지시한대로 유지된다.

 

이송중 절대 뒤집히면은 안되고 이동중에는 잠근다.

 

인턴 잡은 EVD bag 비우기. 500ml이상 모이면 아래 클립을 열어서 통에 비워주고 소독액으로 닦고 거즈로 싸둔다.

 

Suction catheter

정규 인턴 잡은 아니나 여러모로 필요. 기관삽관 전에 주로 사용.

사용목적 : 가래제거, 가래감시, 이물제거

 

1. 비멸균장갑 착용

2. suction 카테터를 wall suction unit에 연결하고 진공 음압 걸기

3. 카테터 팁을 생리식염수에 담근다.

4. ET-tube, T-tube, oropharyngeal airway, 또는 콧구멍을 통해 suction catheter를 삽입한다. 진입 쉽도록 공기구멍을 연 채로 삽입한다.

5. 공기구멍을 엄지손가락으로 닫으면 가래가 흡인된다.

 

wall suction unit또한 있음.

 

 

+ Recent posts